6·15 남북공동선언 21주년이 되는 날입니다. <br /> <br />남북관계와 한반도 비핵화 문제, 여전히 해법을 찾지는 못하고 있는데요. 여야의 시각차 역시 큰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: 6·15 선언 21주년을 맞아 남북 대화가 북미대화를 견인하고 북미대화가 다시 남북대화를 견인하는 한반도 평화의 선순환 구조가 하루빨리 복원되길 희망합니다.] <br /> <br />[김기현 / 국민의힘 원내대표 : 문재인 정권의 지난 4년은 이미 실패로 판명된 햇볕정책을 넘어서 북한이 먼저라는 문재인식 달빛정책 탓에 안보 불안만 가중된 대북 팬데믹의 시간이었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2000년 6월 15일,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평양에서 만났습니다. 분단 이후 첫 남북 정상 만남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5개 조항으로 된 선언문에는 남북의 자주적 문제 해결, 이산가족 문제와 경제 분야를 비롯한 협력·교류 활성화 등이 담겼는데요. <br /> <br />이산가족 상봉, 금강산 관광, 개성공단 사업 등 다양한 교류의 계기로 작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건,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남북 관계는 얼어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출범 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판문점 도보다리 회담 등으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, 훈풍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급기야 지난해 6월 16일, 개성에 있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까지 감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관계 개선의 끈을 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7개국, G7 정상회담 참석 뒤 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, 북한 동의가 있다면 코로나 백신 공급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우리가 확보한 물량 일부를 지원한다는 의미는 아니고요. <br /> <br />지난번 한미정상회담에서 언급된 미국과의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으로 우리 기업이 국내 공장에서 대량의 백신을 생산, 전 세계에 공급한다면 북한에 대한 협력도 가능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한국이 글로벌 생산 허브의 역할을 할 경우에 북한도 당연히 협력 대상이 됩니다. 북한이 동의한다면 북한에 백신 공급 협력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[알렉산더 판 데어 벨렌 / 오스트리아 대통령 : 유럽과 산업 국가 입장에서는 당연히 저소득국과 개도국을 도와줘야 합니다. 북한만 원한다면 북한도 마찬가지입니다.] <br /> <br />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대북제재안을 보면, 인도주의적인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61512484626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